남성호르몬의 종류는 여러개이지만 주로 고환에서 분비되는 테스토스테론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성기능을 비롯한 활력, 근육, 심혈관부터 에너지, 컨디션과 기분까지 온몸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주는 호르몬입니다.
남성호르몬은 30대 중반 또는 40~50대부터 감소되기 시작하여, 70대에는 남성호르몬의 분비가 30대의 절반수준으로 감소하게 됩니다. 여성처럼 폐경기 증상이 나타나진 않지만, 남성호르몬의 감소로 인하여 50대 전후로 많은 남성들이 남성갱년기증상을 겪게 됩니다. 그러나 남성 갱년기 증상은 조금씩 서서히 진행되므로 변화를 잘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변화를 느끼더라도 나이가 들면서 노화에 따르는 자연스러운 변화로 간과하여 치료의 필요성을 인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남성갱년기 증상은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육체적 남성갱년기증상으로는 피로감, 피부노화, 식욕저하, 근육저하, 무기력, 탈모, 복부비만, 어깨결림, 관절통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기억력 감퇴, 집중력 저하, 우울감, 초조함, 불면증 자신감 결여 등이 심리적 남성갱년기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남성갱년기 성적증상으로 성욕감퇴, 발기부전, 조루 등 기능장애와 성적 쾌감이 감소되기도 합니다. 안면홍조, 발한, 심계항진와 같은 심혈관계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남성갱년기가 지속되면 노화가 촉진되고 신체의 저항력이 약화되어 중년 이후 남성의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성기능 저하가 대표적인 남성갱년기증상이지만 체지방 증가와 뼈가 약해지는 현상, 근력의 저하 뿐만 아니라 각종 성인병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미용적 측면의 노화현상을 각각의 근본적인 원인에 따라 종합적으로 치료하고, 다시 과거의 상태로 복원하며 그 모습을 오랫동안 유지시켜 주는 치료를 의미합니다.
남성호르몬검사 및 남성호르몬주사(네비도주사)
남성갱년기증상의 해소를 위해서는 약물과 운동의 병행이 필요합니다. 남성갱년기증상의 치료를 위해서는 먼저 남성호르몬 수치를 정상화 시켜주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남성호르몬 수치를 정상화 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은 남성호르몬주사를 이용한 치료입니다. 남성호르몬주사는 호르몬을 정상수치로 돌려줌으로써 남성호르몬 결핍으로 인한 증상들의 호전에 효과가 있습니다.
남성호르몬 주사 효과
남성호르몬주사를 맞게 되면 근력증가, 허리와 고관절 등의 골량증가, 기분 개선으로 인한 활력 증가, 인지 기능 및 기억력 개선 등에 효과가 있습니다. 그러나 남성호르몬주사는 호르몬의 균형에 대한 고려 없이 적절하게 사용되지 않으면 심각한 부작용이 초래될 수 있습니다. 때문에 꼼꼼한 사전검사와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이 우선시 되어야 합니다.
남성호르몬 검사
남성호르몬 주사의 처방 전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전검사로 혈액검사와 전립선 초음파검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30대 이후 남성호르몬은 급격히 감소하기 시작합니다. 네비도 주사는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끌어올려 최대 3개월까지 적정 수치를 유지하도록 도와줍니다.
혈액검사(남성호르몬, PSA), 전립선 초음파
네비도 사전검사 = 50,000원
비침습적이면서 동맥의 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검사로는 맥파속도(pulse wave velocity, PWV)와 경동맥 IMT (intima-media thickness)가 있습니다.
동맥경화도와 동맥협착도
맥파속도(pulse wave velocity)는 동맥의 두 지점 사이의 거리를 맥파의 전달시간차로 나누어 구하는데(PWV = D/ΔT, m/sec), 맥파가 빠르다는 것(결과치가 높은 것)은 동맥이 경직되어 신전성(distenstibility)이 떨어져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가 됩니다.
중심성 동맥의 PWV는 대동맥(경동맥-대퇴동맥)에서, 말초동맥의 PWV는 상지(경동맥-요골동맥, 상완동맥-요골동맥)나 하지(대퇴동맥-경골동맥)에서 측정합니다.
PWV의 주된 결정 인자는 나이와 수축기혈압인데, 중심성 PWV는 나이가, 말초 PWV는 수축기혈압이 으뜸 인자로 작용하며, 염분섭취, 유전적 소인, 당뇨, 흡연, 비만, 인종 등도 영향을 미친다. PWV는 미세단백뇨나 좌심실비대와 같은 표적장기 손상과도 연관이 있으며, 어느 연령층을 막론하고 심혈관 사망의 강력한 예측인자가 됩니다.
PWV는 동맥경화의 예측인자로서도 중요한데, PWV가 13 m/s 이상이면 동맥경화의 진단기준이 되며 관상동맥질환과 뇌졸중 및 이로 인한 사망률 모두 유의하게 증가되고, 이 기준은 혈청 크레아티닌치나 좌심실비대, 총/HDL콜레스테롤 비율보다 더 강력한 심혈관질환의 예측인자라고 한다.
동맥경화도, baPWV (brachial-ankle PWV)
중심성 동맥의 맥파속도(carotid-femoral PWV)가 연구가 많이 되어왔으나, 센서를 부착하여 파형을 기록하기가 어렵다. 최근에는 혈압 cuff에 부착된 oscillometric sensor로 상지와 발목관절 사이의 맥파를 기록하여 baPWV를 측정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동맥협착도 (발목-윗팔 혈압 지수, Ankle-Brachial Index, ABI)
동맥협착도는 혈관이 좁아진 곳이 있는 지 여부와 좁아진 정도를 파악하는 검사로 정상은 0.9가 넘는다(정상 1.29~0.91). 말초동맥질환의 진단 범위는, 0.41~0.90 사이이면 경도~중등도 혈류 저하, 0.4 이하이면 중증으로 안정시 허혈성 통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말초동맥질환의 진단과 치료
* 측정 방법 : 검사 방법은 정 자세로 누워 팔과 다리에 혈압계를 부착하여 사지의 수축기혈압을 측정하고, 분모는 상지 혈압 중 높은 것으로, 분자는 Right ABI는 우측 하지 혈압, Left ABI는 좌측 하지 혈압으로 하여 계산한다. 이 2개 중 낮은 것이 Overall ABI이다.
PWV & ABI 검사 결과 예
* 본 환자의 ABI 계산은, Right ABI = 129/117 (1.10), Left ABI는 125/117 (1.07) 이며 , overall ABI는 1.07 이다.
* Simple evaluation of cardiac function (심기능 간단 평가)
설명 : 우하 사분위로 갈수록 심기능 저하(심실 박출량 감소와 심근 수축력의 감소)를 의미함. 상기 환자(적색 원)는 정상 범위(2 SD 이내)에서 약간 심기능이 저하된 것으로 판단됩니다.
동맥경화도 (Carotid-Ankle Vascular Index, CAVI)
CAVI는 동맥혈관의 경직도 및 탄력성을 평가하여 혈관 노화 및 혈관 나이를 평가하는 검사로 정상치는 12 이하이다. 12 이상이면 대동맥 기능에 상당한 변화가 있어서 경직이 진행되었다(혹은 탄력성이 많이 떨어졌다)고 판단합니다.